텍스트큐브는 패키지를 압축해서 배포한다.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압축을 풀어야 되는데 자신의 컴퓨터에서 직접 압축해제를 한 후 수많은 작은 파일들을 FTP로 전송하다보면 용량에 비해서 시간도 엄청 많이 걸리고 오류도 잦은 편이다. 이런 경우는 FTP로 압축파일 그대로 서버에 전송한뒤 텔넷이나 SSH(Secure SHell)를 통해서 서버에 원격 접속하여 명령어를 통해 서버상에서 압축을 푸는 편이 훨씬 효율적이다.
그 동안은 새로운 방법을 찾아보는게 귀찮아서 그냥 FTP로 해결했었는데, 얼마 전 문제가 생겼을때 설치와 제거를 반복하려다보니 너무 비효율적이라 능력자 홍준이에게 SSH 사용법을 배웠다. 리눅스서버 호스팅을 받고 있기 때문에 텍스트큐브 설치에 필요한 간단한 명령어 몇 가지만 정리해본다.
윈도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는 프로그램은 한글putty를 사용했다. 다운은 아래 링크.
세종대 자료실 > 한글 PuTTY 0.58.h2http://ce.sejong.ac.kr/main/bbs/board.php?bo_table=bb01&wr_id=16
다운받은 파일을 설치하고 SSH클라이언트를 실행한 뒤, 적절한 호스트 이름을 넣어주고 연결하면 까만창이 뜬다.
파일 지우기는 rm을 사용한다. 여러가지 옵션이 있지만 내가 필요한건 rm -rf 정도. r은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 삭제, f는 삭제시 확인없이 바로 강제 삭제하는 옵션.
압축풀기. tar -zxf 압축파일이름.
권한설정. 예) chmod 707 - 현재 디렉토리의 권한을 조정합니다.
꼭 필요한 건 압축해제 정도지만 그냥 한번 정리해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