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지수(league coefficient)는 유럽의 리그 랭킹을 정해 각 리그별로 UEFA 챔피언스 리그나 UEFA컵에 참가할 클럽의 수를 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수입니다.
리그 지수 산출방법 - 각 클럽들이 UEFA주관 클럽 대항전에서 얻은 승점을 국가별로 합친후 참가 클럽의 수로 나누고 소수점 3자리까지 반올림합니다. 승점은 승리 2점, 무승부 1점. 예선에서 얻은 승점은 절반만 인정합니다. 그리고 챔피언스 리그의 경우 32강, UEFA 컵은 8강 진출부터 보너스 포인트가 주어집니다. 이런식으로 과거 5년간의 성적을 합산하여 UEFA에서 점수는 공개하지 않고 랭킹만 발표하고 있습니다.
연도
| 리그
| 연속 |
1960-1966 |
스페인 |
7 |
1967-1975 |
잉글랜드 |
9 |
1976-1984 |
독일 |
9 |
1985 |
잉글랜드 |
1 |
1986-1989 |
이탈리아 |
4 |
1990 |
독일 |
1 |
1991-1999 |
이탈리아 |
9 |
2000-present |
스페인 |
8 |
역사 - 1960년 처음으로 5년간의 성적을 기반으로 한 리그 랭킹이 발표된 후부터 4개의 리그가 돌아가면서 1위를 차지해왔습니다. 왼쪽의 표를 통해서 살펴보면 스페인 15년, 이탈리아 13년, 독일과 잉글랜드가 10년씩 1위를 차지했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08/09 시즌에 사용될 리그 랭킹으로 순위별로 챔피언스리그와 UEFA 컵에 나갈 수 있는 클럽의 수를 같이 표시해놓은 표입니다.
순위
| 리그
| 챔피언스리그 배정
| UEFA 컵 배정
|
1
| 스페인 Spain
| 4
| 3
|
2
| 잉글랜드 England
|
3
| 이탈리아 Italy
|
4
| 프랑스 France
| 3
|
5
| 독일 Germany
|
6
| 포르투갈 Portugal
|
7
| 루마니아 Romania
| 2
| 4
|
8
| 네덜란드 Netherlands
|
9
| 러시아 Russia
| 2
|
10
| 스코틀랜드Scotland
|
11
| 우크라이나 Ukraine
|
12
| 벨기에 Belgium
|
13
| 체코 Czech Republic
|
14
| 터키 Turkey
|
15
| 그리스 Greece
|
16
| 불가리아 Bulgaria
| 1
| 3
|
17
| 스위스 Switzerland
|
18
| 노르웨이 Norway
|
19
| 이스라엘Israel
|
20
| 세르비아 Serbia
|
21
| 덴마크 Denmark
|
22
| 오스트리아 Austria
| 2
|
23
| 폴란드 Poland
|
24
| 헝가리 Hungary
|
25
| 슬로바키아 Slovakia
|
26
| 크로아티아 Croatia
|
27
| 사이프러스 Cyprus
|
28
| 스웨덴 Sweden
|
29
| 슬로베니아 Slovenia
|
3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Bosnia and Herzegovina
|
31
| 라트비아 Latvia
|
32
| 리투아니아 Lithuania
|
33
| 핀란드 Finland
|
34
| 몰도바 Moldova
|
35
| 아일랜드 Republic of Ireland
|
36
| 조지아 Georgia
|
37
| 리히텐슈타인 Liechtenstein
| 0
| 1
|
38
| 마케도니아 FYROM
| 1
| 2
|
39
| 아이슬란드 Iceland
|
40
| 벨라루스 Belarus
|
41
| 알바니아 Albania
|
42
| 에스토니아 Estonia
|
43
| 아르메니아 Armenia
|
44
| 아제르바이잔 Azerbaijan
|
45
| 카자흐스탄 Kazakhstan
|
46
| 북아일랜드 Northern Ireland
|
47
| 웨일즈 Wales
|
48
| 페로제도 Faroe Islands
|
룩셈부르크 Luxembourg
|
몰타 Malta
|
51
| 산 마리노 San Marino
| 1
|
안도라 Andorra
|
몬테네그로 Montenegro
| 2 |
댓글